공기업이 뭔지도 이해했고, 급여는 어떻게 되는지 이해했고, 공기업이라는 막연한 목표를 설정했다면 이제 좀 더 세분화해서 목표를 정해보고, 그에 맞춘 준비는 어떻게 해야 되는지 알아보자. 

     

     

    들어가고 싶은 공공기관 정하기

    급여만 놓고 직장 줄 세우고 따지는 게 정말로 무식하고 속물처럼 보일 수도 있겠지, 그러나 전에 말했듯이 우리 사회의 눈높이는 그 사람의 가치를 내면으로 판단하지 않고 어느 회사에서 일하는지 얼마의 급여를 받고 일하는지가 가치가 된다. 그리고 그렇게 사는 것도 그렇게 나쁘지 않다. 

     

    사람들은 아래 그림처럼 등급을 나눈다. 자 본인은 어디로 가기로 정했는가? 이 등급표보다 더 현실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말해보자. 

     

    세상은 이렇게 철저히 직장을 계급으로 나누기도 한다. 슬픈 현실인거 나도 안다. 세상은 서러움 그 자체고 인생은 불공정, 불공평이야. 서러움이 있지 왜 없어. 그런데 그 서러움은 내가 극복해야 하는 것 같아.

     

    1. 공공기관 평균 연봉 분류표에 따른 목표 정하기 

    전에 포스팅에서도 말했듯이, 아래 방법에 따라 목표를 설정해보자. 이 두 가지 표를 보고 든 생각은 무엇인가? 수많은 공공기관 중에서 어디로 가야 하는가? 당연히 시장형, 준시장형, 기금관리형이다. 물론 평균적으로 그렇다는 이야기다. 

     

    <연봉에 따른 공기업 고르는 법>

     

    급여의 관점에서만 놓고 보자면 시장형, 준시장형, 기금관리형 공기업을 목표로 하는 것이 가장 옳은 길이다.(실제로는 근무지, 워라밸, 연봉상승률 등 더 따질 것이 많지만 일단은 한 가지 기준으로 잡도록 하자) 아래는 예를 들 것뿐이고 알리오를 통해 찾아보면 훨씬 더 많다. 

    • 시장형 공기업 : 한국가스공사, 한국남동발전, 한국동서발전, 한국서부발전, 한국석유공사, 한국 수력원자력, 한국전력공사, 한국 중부발전, 한국지역난방공사, 강원랜드, 인천 국제공항공사*, 한국공항공사
    • 준시장형 공기업 : 한국조폐공사, 한국마사회, 한국방송광고 진흥공사, 한국수자원공사
    • 기금관리형 준정부기관 : 신용보증기금, 예금보험공사, 한국자산관리공사, 한국 주택금융공사

    2. 공기업 연봉 순위로 정하는 방법 

    cafe.naver.com/studentstudyhard/1830415

    1. 위 링크는 네이버 공준모에서 공기업 연봉 순위를 1위부터 520위까지 나열해 놓은 것이다.

    들어가 보면 알겠지만 공기업이라고 해서 다 같은 거 아니고 중소기업보다 못한 공기업도 많다. 어차피 힘들게 준비해서 들어가서 힘들게 내 시간 팔아서 돈 받을 거 돈이라도 많이 받자. 그렇게 생각하자. 

     

    그런데 취업카페에 들어가 보면 "'초봉 얼마 정도면 만족하세요?"라는 질문에 대부분 3,000~3,500만 원이라고 대답한다. 그렇게 대답한 사람은 대부분 대학생이거나 직장 경험 없는 사람이라고 생각한다. 막상 가서 초봉 3천만 원 받아봐라. 한 달에 얼마일 거 같나? 그런 사람들 꼭 들어가서 월급 받고 이직 준비한다. 그러니까 한 번에 가자. 

     

    2. 목표를 정했다면 준비과정에 대해 알아보자. 

    네가 공기업 연봉 순위 1~50위 안에 들어있는 회사 중에 한 군데를 꼭 들어가야겠다고 해보자. 물론 이 안에서 전공에도 맞고, 하고자 하는 일에도 맞는 직렬을 뽑는 회사가 있고 거기에 들어갈 수 있다면 금상첨화겠지 하지만 그것보다도 들어가는 게 더 중요하다고 생각한다. 들어간 뒤에는 경력으로 얼마든지 이직할 수 있다. 

     

    자 그럼 하나의 공기업을 선택했다고 해보자. 물론 하나만 선택하면 안 된다. 50개 정도는 쓸 생각하고 있어야 한다. 

    * 2021년 공공기관 채용계획 

     

    위 디렉터리 북을 참고하여, 예를 들어 한국가스공사에 취업하겠다고 목표를 잡았다고 해보자. 

     

     

    위 내용에서 채용절차와 필요한 사항, 또 내가 가진 게 무엇인지 판단해야 한다. 그리고 더 자세한 사항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전년도 채용 공고문을 확인하는 것이 가장 정확하다. 공준모라는 네이버 카페에 가입하여 채용공고 게시판에서 한국가스공사를 검색하면 아래와 같이 연도별, 월별로 채용공고에 대해서 다 검색해볼 수 있다. 

     

     

    그러고 나서 아래 세부 채용 공고문을 살펴보도록 하자. 

     

     

    요즘 서류전형 추세는 대부분 적부 평가로 특별히 문제없으면 통과시켜주고 시험 보게 해 준다. 어차피 시험에서 다 떨어지게 될 테니까., 그렇기에 여기서 기회의 평등이 발생한다. 학교도 학점도 아닌, 시험으로 

     

    NCS직업기초능력시험과 직무적성평가(전공시험)에서 모든 것이 결정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. 왜냐하면 그 많은 사람 중에서 시험으로 2 배수를 뽑기 때문이다. 모든 기관이 2 배수는 아니고 보통 2~5배 수정 도로 생각하면 된다. 

     

    만약에 시험에 통과했다고 생각해보자. 그럼 2 배수인데 한자리를 놓고 면접에서 2명이 경쟁하는 거다. 너 아니면 내가 합격하는 건데 50%면 엄청난 확률이다. 사무직 전공과목 또한 행정학으로 보는 곳도 있고 안보는 곳도 있고 일반적을 위와 같다. 자 이제 왜 NCS와 전공을 준비해야 하는지 알겠는가? 

     

    반응형
    • 네이버 블러그 공유하기
    •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
    • 페이스북 공유하기
    •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